무디스 이어 S&P도 경고…국내 신용평가사도 부정적

일본의 수출 규제로 인해 국내 대표기업들의 신용강등 가능성이 높아지고 있다. (이미지=뉴스1 최진모 디자이너)

[미래경제 한우영 기자] 일본의 수출규제로 반도체‧디스플레이 등 주요 한국 산업 전반을 이끌었던 기업들에 대한 신용등급 강등 위험이 커질 것이란 위기감이 커지고 있다.

스탠더드앤드푸어스(S&P)는 지난 10일 '높아진 신용위험에 직면한 한국 기업들'이란 보고서를 통해 "한국 기업의 신용등급이 실적 악화 등으로 본격적인 하락 국면에 진입했다"고 분석했다. 그러면서 "한국과 일본 간 무역마찰이 한국 기업의 등급 하락 위험을 키우는 요인 중 하나"라고 설명했다.

무디스가 지난 2일 “일본의 수출규제가 삼성전자와 SK하이닉스 등 한국 기업 신용도에 부정적인 영향을 줄 우려가 있다”고 발표한 데 이어 글로벌 신용평가사로부터 다시 강력한 경고음이 울렸다는 평가다. S&P는 이날 한국의 올해 성장률 전망치를 종전 2.4%에서 2.0%로 낮췄다.

S&P가 경고 수위를 높이면서 기업의 무더기 신용등급 강등 우려가 커지고 있다. S&P는 올 들어 이마트 LG화학 SK이노베이션 SK텔레콤 등 7곳의 신용등급에 '부정적' 전망을 달았다. 등급이 떨어진 KCC와 등급 전망이 하향 조정된 SK하이닉스까지 합하면 9곳의 신용 전망이 이전보다 나빠졌다.

스탠더드앤드푸어스(S&P)는 10일 “악화된 영업 환경과 규제 리스크 등 여러 요인으로 한국 기업들의 신용 악화 부담이 앞으로 12개월 동안 지속될 것”이라며 신용등급 하향 조정을 예고했다.

삼성전자의 올 상반기 영업이익은 12조7300억원으로 전년 동기 대비 58% 감소했다. 2분기 실적 발표를 앞둔 SK하이닉스의 지난 1분기 영업이익은 1조3664억원이었다. 지난해 같은 기간보다 64% 줄었다. 일본의 수출 규제 여파 등으로 하반기엔 환경이 더 나빠질 것이란 관측이 많다.

S&P에 따르면 올해 1분기 삼성전자를 제외한 한국 상위 200개 민간기업(자산규모 기준 비금융사)의 합산 영업이익은 약 24조원으로 전년 동기(약 39조원) 대비 38% 감소했다. 수익성이 떨어진 여파로 재무적 부담은 커지고 있다. 이들 기업의 평균 상각전영업이익(EBITDA) 대비 총차입금 비율은 2017년 말 2.7배 수준이었지만 올 3월 말엔 3.4배로 뛰었다.

S&P가 이날 한국 경제성장률 전망치를 2.4%에서 2.0%로 낮춘 이유다. 지난 4월 2.5%에서 2.4%로 내린 지 석 달 만에 추가 하향 조정했다.

주주환원 확대 등으로 현금 유출이 늘고 있는 것도 부담 요인으로 꼽힌다. 현대모비스는 올해부터 2021년까지 배당금 확대, 자사주 매입 등에 2조6000억원을 쓰기로 했다. S&P가 비관적인 전망을 내놓으면서 국내 기업의 신용위험이 한층 커질 것이란 우려가 나온다. 이 신용평가사가 올해 신용등급을 내렸거나 등급전망을 하향 조정한 한국 기업은 9곳으로 2014년(10곳) 후 5년 만에 최대를 기록했다.

국내 신용평가사들의 시선도 부정적으로 바뀌고 있다. 한국신용평가는 올 들어 회사채 평가 대상 기업 377곳 중 15곳의 신용등급 전망을 '안정적'에서 '부정적'으로 변경했다. 등급전망이 ‘긍정적’으로 바뀐 기업(7곳)보다 두 배 이상 많다. 신용등급이 떨어진 기업은 16곳으로 오른 기업(9곳)보다 두 배 가까이 많다.

저작권자 © 미래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
한우영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

관련기사